보도자료

 

보도일시

2022. 8. 16(화) 조간 (온라인 : 배포 즉시)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22. 8. 16.(화)

 

보도내용

문의

연구 담당자

차정미 국제전략연구센터장

(02- 2224- 9806)

홍보 담당자

전예솔 행정원

(02- 2224- 9821)


국회미래연구원, 

‘미중 전략경쟁과 과학기술외교(Science Diplomacy)의 부상’ 보고서 발간


-  한국의 과학기술외교 전략과 과제 제시-

국회미래연구원(원장 김현곤)은 미래전략에 대한 심층분석 결과를 적시 제공하는 브리프형 보고서인 「국제전략 Foresight」 제11호(표제: 미중 전략경쟁과 과학기술외교의 부상)를 8월 16일 발간했다.


보고서는 기술혁신과 미중 전략경쟁의 심화 속에서 확대되고 있는 양국간의 과학기술외교(science diplomacy) 경쟁에 주목하고, 한국의 과학기술외교 전략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The end of naïve era(나이브한 시대의 종언)”이 최근 유럽의 과학기술계에서 회자되고 있다. 탈냉전기 초국적 과학기술협력이 환영받던 시대가 미중 전략경쟁과 지정학적 불안정성 속에서 저물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본 보고서는 미중 기술패권경쟁 속에서 글로벌 과학기술협력의 진영화가 심화되고 있음에 주목하고, 미중 전략경쟁과 전쟁이단순히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넘어 과학기술협력, 연구협력의 재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본 보고서는 미중 양국이 기술우위와 외교우위 확보를 위해 전개하고 있는 과학기술외교 경쟁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한국 과학기술외교 전략에의 시사점과 과제를 제시한다. 

- 1 -


차정미 국제전략연구센터장은 본 보고서에서 “과학기술협력, 연구협력망의 진영화 추세 속에서 과학기술과 국제정치가 밀접히 연계되고 있다”고 밝히고 “정부의 외교정책과 과학기술정책은 긴밀한 소통과 연계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과학기술정책과 과학기술국제협력은 국제정치와 안보를 고려해야 하고, 외교는 외교정책결정에 있어 과학적 자문과 검토를 반영해야 하는 것은 물론 과학기술을 주요한 외교적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차 센터장은 “미중 과학기술외교 경쟁시대, 과학기술외교는 중견국에게도 혁신경쟁력 확보와 전략적 자율성, 외교적 위상과 영향력을 갖추는 데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하고, 한국 과학기술외교의 4가지 전략기조- △외교정책 결정에 있어 과학적 자문과 검증의 강화, △과학기술 진영화와 이중표준의 부상 등 미래변화 선제적 대비 △과학기술 개방협력 확대, 최소제약 원칙 견지 △탈진영의 독자적 과학기술외교 공간 구축을 통한 외연의 확장- 을 제언하였다.


또한, 한국 과학기술외교 발전의 핵심과제로 △과학기술외교의 종합적 중장기 전략 수립 △과학기술외교의 독자적 협력망 구상 △개발도상국에 대한 과학기술외교 확대 △과학기술외교의 新거버넌스 구축을 제시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과학기술외교위원회 신설 및 과학기술외교 인력 확대, 민관협력의 과학기술외교 연구조직 창설 검토 등을 제언하였다.













- 2 -

[이미지]

 

- 3 -

[브리프형 심층분석 보고서 목록]

구분

회차

표제

저자

발간일
















국가미래전략 Insight





















국가미래전략 Insight

제1호

2050년 대한민국 미래예측과 국회가 주목한 11대 국가 개혁과제

김유빈

20- 08- 20

제2호

2050년 서른살, 민서가 바라는 미래 

박성원

20- 09- 03

제3호

2050 대한민국 미래와 정책의제 

김홍범

20- 09- 17

제4호

더 많은 입법이 우리 국회의 미래가 될 수 있을까 

박상훈

20- 10- 15

제5호

고령화 대응 국가전략을 만드는 새로운 방법 

김현곤

20- 11- 12

제6호

보존분배사회 전환을 위한 국민의 선택 

정영훈,

박성원

20- 11- 19

제7호

기후변화 영향 대응현황 및 제언- 국내 연구 정책에 대한 양적 비교를 중심으로 

김은아

20- 11- 26

제8호 

디지털 전환에 따른 한국 경제사회 파급효과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여영준

20- 12- 10

제9호 

세계적 감염병 이후 사회 변화

박성원,

김유빈

20- 12- 24

제10호

한국인의 미래 가치관 조사

민보경

21- 01- 07

제11호

심리자본과 사회자본 확충을 위한 진단 및 교육정책 과제

성문주

21- 01- 21

제12호

코로나19와 함께 한 1년 : 국민의 삶은 어떻게 변했는가

허종호

21- 02- 18

제13호

동북아 지역의 국제 갈등 양상과 무역분쟁: GDELT를 중심으로

박성준

21- 03- 04

제14호

국내외 에너지전환정책 현황 및 시사점

정훈

21- 03- 18

제15호

미래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중장기계획의 도전과제와 혁신방안: 과학기술 부문을 중심으로

여영준

21- 04- 01

제16호

국가장기발전전략 탐색에 따른 주요 개혁의제 제언

이선화

21- 04- 15

제17호

행복조사의 필요성과 한국인의 행복 실태

허종호

21- 04- 29

제18호

일하는 국회로의 전환을 위한 제도적 조건

조인영

21- 05- 13

제19호

인구감소시대의 보육ㆍ유아교육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방향 탐색

이채정

21- 05- 27

제20호

새로운 국가발전모델의 제안

김현곤

21- 06- 10

제21호

선호미래로 향하는 우회도로

박성원

21- 06- 24

제22호

높은 자살률,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가 아닌가

박상훈

21- 07- 08

제23호

대량 문헌탐색 기반 이머징 이슈 도출

김유빈

21- 07- 22

제24호

재난을 넘어, 혁신을 넘어 : 미래를 위한 혁신 정책의 대전환

전준

21- 08- 05

제25호

어디 사는지에 따라 행복감이 달라질까? 도시와 비도시 지역의 행복요인

민보경

21- 08- 19

제26호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전직지원서비스 정책 주요 이슈와 제언

성문주

21- 09- 02

제27호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 도입에 따른 국내 산업계 영향과 대응방안

여영준,

조해인,정훈

21- 09- 16

제28호

국회의원 보좌진들이 바라보는 미래 정책과 국회

박현석

21- 10- 07

제29호

디지털화폐의 등장과 금융시스템의 변화 전망

박성준

21- 10- 21

제30호

에너지수요관리 중장기 발전 방향 제시

조해인

21- 11- 04

제31호

복지재정 효율화를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복지사업 분담체계 개편 전략

이선화

21- 11- 18

제32호

청년층의 기업가정신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 방향 탐색

성문주

21- 12- 09

제33호

저출생·고령사회 심화에 따른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방향 검토

이채정

21- 12- 15

제34호

인구충격에 대응하는 지역의 미래 전략 : 완화와 적응

민보경

21- 12- 23

제35호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 대응 산업지원 정책과제와 정책효과 분석

정훈

21- 12- 30

제36호

미래비전 2037: 성장사회에서 성숙사회로 전환

김유빈

22- 01- 10

제37호

장애인 운동 20년, 장애 입법 20년: ‘이동권’에서 ‘탈시설’로

이상직

22- 01- 24

제38호

2021년 한국인의 행복조사 주요 결과

허종호

22- 02- 07

제39호

대한민국의 미래와 교육: 교육아젠다 10선

김현곤

22- 02- 21

제40호

타협의 정치와 갈등 관리: 한국의 법인세율 결정과정 분석

박현석

22- 03- 07

제41호

코로나19 이후 미국 경제정책 패러다임 전환과 시사점

이선화

22- 03- 18

제42호

디지털전환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사회의 중장기 변화 전망과 시사점

여영준

22- 04- 04

제43호

기후변화 5대 영향 영역과 적응입법 아젠더

김은아

22- 04- 18

제44호

‘국가’와 ‘국민’을 줄여 써야 할 국회

박상훈

22- 05- 02

제45호

미래 전망의 프레임과 개선안

박성원

22- 05- 16

제46호

노동시장 취약계층 사회적 이동성 향상을 위한 평생학습 정책 제언

성문주

22- 05- 30

제47호

생애주기별 사회적 위험 분석: 소득 수준과 빈곤 경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채정

22- 06- 13

제48호

1인 가구의 행복 분석

민보경

22- 07- 11

제49호

한국 복지체제의 대안적 전략 구상

이선화

22- 07- 25

제50호

한국인의 분배 인식: ‘능력주의’ 논의에 대한 시사점

이상직

22- 08- 08

국제전략 Foresight

제1호 

미ㆍ중 경쟁 시대의 한국의 안보전략

유재광

20- 09- 24

제2호

뉴노멀과 한국의 대외 경제전략 

유재광

20- 11- 05

제3호

미중기술패권경쟁과 중국의 강대국화 전략

차정미

21- 08- 12

제4호

포스트 펜데믹 한반도 평화공존을 위한 재난위험경감 협력방향

김태경

21- 10- 14

제5호

미래전쟁과 군사- 기술의 연대 : 인공지능의 군사화와 민군융합

차정미

21- 11- 11

제6호

빅데이터(GDELT)를 통해 살펴본 국가 간 갈등의 변화

박성준

21- 11- 25

제7호

미중 기술패권경쟁에 대한 세계의 인식과 전략, 한국외교에의 함의와 의회의 역할

차정미

21- 02- 14

제8호

국제질서의 변화와 우크라이나 사태의 지정학적 함의

박성준

22- 04- 25

제9호

‘그린 데탕트’: 환경협력을 통한 평화구축의 미래 탐색

김태경

22- 06- 20

제10호

미·중 기술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전략

박성준

22- 07- 04

제11호

미중 전략경쟁과 과학기술외교의 부상

차정미

22- 08- 16

Futures

Brief

제1호 

이머징 이슈 연구와 세계 동향

박성원

21- 07- 29

제2호 

한국의 미래 SDGs이행 방향에 대한 논의 : 분절에서 통합으로

조해인

21- 08- 26

제3호

경제성장이라는 세속 종교와 GDP라는 마법의 숫자 : 대안 탐색을 위한 시론

이상직

21- 09- 30

제4호

2022년 주목할 15개 이머징 이슈

박성원

21- 12- 02

제5호

과학기술의 미래 영향평가: 유럽의회 2021년 보고서 “전례 없는 이슈에 대한 의회의 대응”

박성원

22- 01- 10

제6호

동북아 환경분쟁 이슈 및 대응전략

김은아

22- 02- 28

제7호

이머징 이슈를 발견할 기회의 창: 갈등 관련 10대 이머징 이슈와 시사점)

박성원,

김유빈

22- 07- 18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