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내일을 여는 국민의 국회

국회정보길라잡이

주제별
서비스명

    정보명, 주요속성, 주제영역, 세부영역, 관리기관, 서비스 유형, 출처시스템, 바로가기 URL
    정보명
    주요속성
    주제영역 세부영역
    관리기관 서비스 유형
    출처시스템
    바로가기
    관리기관
    검색어명
    관리기관
    국회정보길라잡이 콘텐츠별 목록
    번호 정보명 관리기관 서비스유형 출처시스템 주요속성
    창닫기

    알림마당

    • HOME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창닫기

    불투명한 물가 전망, 대내외 다양한 리스크 요인에 주의 요망

    기획관리관 기획협력담당관실
    • 구분 : 국회입법조사처
    • 2023-09-27
    • 3684


    불투명한 물가 전망, 대내외 다양한 리스크 요인에 주의 요망
    - 한동안 하향 안정되던 소비자물가가 다시 반등 조짐을 보이는 상황
    - 경기, 금융, 재정 등 다양한 경제 지표 동향을 함께 고려하되 대증요법은 지양할 필요


    □ 국회입법조사처(처장 박상철)는 2023년 9월 27일(수) 「최근 소비자물가 동향: 리스크 요인과 전망의 불안정성」을 다룬 『이슈와 논점』을 발간함


    □ 올해 들어 하향 추세를 보이던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8월 다시 3%대로 올라서고, 물가의 장기적 기조를 보여주는 근원물가지수 또한 지난 3월 이후 몇 달째 총지수 상승률을 상회하고 있는 상황임


    □ 세계적으로도 주요국의 물가상승률은 고점을 겨우 지난 듯한 모습이며, 기조적 물가 흐름은 둔화되지 않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 미국, 일본, EU, 영국 등 주요국 물가는 여전히 높게 나타나며, 각국은 긴축적 통화정책, 기준금리 인상, 에너지·식료품 가격 관리 등으로 대응하고 있음


    □ 최근 기상이변, 지정학적 리스크, 산유국들의 감산 기조 등으로 에너지·농식품 가격이 불안해지는 상황에서 주요국의 경제·금융 지표와 통화·재정정책 대응이 상호 영향을 주면서 물가 상·하방 리스크가 혼재된 양상임
    ○ 이런 대내외 여건 속에서 국내 영향이 우려되는 물가 리스크 요인으로 에너지 부문에서는 ‘유류세 탄력세율’ 인하와 ‘전기·도시가스 요금’의 추가 인상 여부를 들 수 있음
    ○ 또한 농식품 물가 측면에서는 생산투입 비용의 꾸준한 증가에 따른 물가 상방 압력과 엘니뇨 등의 영향으로 인한 국제 농산물(특히, 설탕) 가격 인상 요인 등을 들 수 있음
    ○ 기대인플레이션이 진정 국면을 보이는 등 유동성에 의한 근원물가 상방 압력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지만, 서비스 물가 둔화가 더딘 점은 주의를 요함


    □ 일련의 논의를 고려하면 향후 물가 경로는 불안정해 보이는 바, ‘물가’라는 핵심 거시변수의 안정이 경기, 금융, 재정 등의 경제 지표와 정교하게 조화될 수 있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임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고, 담당자에게도 문의 바랍니다.
    담당자: 재정경제팀 황인욱 입법조사관(02-6788-4571, inwook@assembly.go.kr)
    산업자원농수산팀 김규호 입법조사관(02-6788-4593, kyuho@assembly.go.kr)
    ☞ 보고서 바로보기: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sCode=CM0043&brdSeq=43010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가능-변형가능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Quick
    메뉴
    TOP
    Quick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