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내일을 여는 국민의 국회

국회정보길라잡이

주제별
서비스명

    정보명, 주요속성, 주제영역, 세부영역, 관리기관, 서비스 유형, 출처시스템, 바로가기 URL
    정보명
    주요속성
    주제영역 세부영역
    관리기관 서비스 유형
    출처시스템
    바로가기
    관리기관
    검색어명
    관리기관
    국회정보길라잡이 콘텐츠별 목록
    번호 정보명 관리기관 서비스유형 출처시스템 주요속성
    창닫기

    알림마당

    • HOME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창닫기

    '조력존엄사’ 논의의 쟁점과 과제

    기획관리관 기획협력담당관실
    • 구분 : 국회입법조사처
    • 2022-07-21
    • 2114

    '조력존엄사’ 논의의 쟁점과 과제


    □ 국회입법조사처(처장 김만흠)는 2022년 7월 21일(목), “‘조력존엄사’ 논의의 쟁점과 과제”라는 제목의『이슈와 논점』을 발간함


    □ 현재 환자 본인이 원하면 의사의 도움을 받아 삶을 스스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력존엄사법’이 발의되면서, 소위 ‘웰 다잉(Well-dying)’ 논의가 대두되고 있음
    ○ 현행법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경우 연명의료를 중단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조력존엄사(의사조력자살)’는 인정하지 않고 있음


    □ ‘조력존엄사’와 관련하여 죽음을 선택할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찬성론과 의사조력자살이 남용될 수 있다는 반대론이 대립되고 있음. 최근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이 논쟁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음
    ○ ‘조력존엄사’를 찬성하는 핵심 이유는 의사표시 가능한 환자의 죽음 선택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를 사회적 ‘보호 대상’만이 아니라 생명에 대한 자기결정의 ‘권리 주체’로 간주해야 한다는 입장임
    - 찬성론에 대해서는 죽음 선택과 관련된 자기결정권이 자유권적 기본권의 내용을 이루고 있다 하더라도, ‘의사조력’으로 자기 삶을 마감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가가 초점임
    ○ ‘조력존엄사’를 반대하는 핵심 이유는 사회경제적 압력에 의해 죽음을 결정하는 사례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임종과정의 고통을 완화하여 죽음의 질을 높이는 수단이 부족한 상황에서 의사조력자살은 제도적으로 남용될 수 있기에, ‘조력존엄사’는 ‘사회적 타살’이라는 입장임
    - 의사조력자살의 남용이 초점이 됨. 남용의 요인으로 환자의 의사결정능력의 여부, 질환의 말기에 이르렀는지 등에 대한 오판, 그리고 환자 본인에게 불리한 가족 의견의 과도한 영향이 있음


    □ 미국 오레곤 주(The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1997 시행)와 스위스(Strafgesetzbuch, 2015 개정)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의사조력자살제도의 도입·시행의 필수 요건, 절차 및 한계를 과제로 제시하였음
    ○ 첫째, 환자의 의사결정능력, 연령기준, 기대여명, 질병의 종류나 성격과 관련된 요청의 진정성 확인 방법 등을 규정해야 할 것임
    ○ 둘째, 요청의 방식(구두/서면)과 반복 및 첫 요청과 다음 요청 사이 대기 숙려기간, 조력자살 이외의 대체 방안에 대한 담당 의사의 설명의무, 담당 의사와 상담 의사의 업무와 권한(의사능력 확인 시 정신건강의학 전문의 개입방식), 의사조력자살의 시행 절차, 시행 후 기록 및 기록보관 의무, 심사?관리위원회의 업무 등을 규정하여야 할 것임
    ○ 셋째, ‘이기적 동기’, 심지어 ‘존중할 만한 동기’에 따른 ‘자비 살인(mercy killing, 자살 원조)’도 차단하고, ‘비이기적인 동기’에 따라 자살을 도운 것은 합법적인 것으로 하여 형사책임과 면책 조항을 병행 규정하여야 할 것임


    □ 경제적 부담 등으로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의사조력자살이 강요될 수도 있는 등 남용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 따라서, ‘조력존엄사’를 제도화하려고 한다면, 사회적 합의 형성을 위해 제도 도입·시행의 요건과 절차 및 한계를 엄격하게 규율하여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면밀한 사전·사후 통제 장치를 마련해야 하고, 그 이전에 말기 환자 돌봄 서비스 제공을 체계화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할 것임



    ※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고, 담당자에게 문의 바랍니다.
    담당자: 이만우 입법조사연구관(02-6788-4725)
    ☞ 보고서 바로보기: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sCode=CM0018&brdSeq=39754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가능-변형가능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Quick
    메뉴
    TOP
    Quick 메뉴
    닫기